컨트롤러 (Controller)
모델(Model)과 뷰(View) 사이에서 브릿지 역할을 수행한다. 앱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모델 및 뷰를 업데이트 하는 로직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요청은 모두 컨트롤러를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 컨트롤러로 들어온 요청은 모델이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여 모델로 요청을 전달한다.
@RestController
- Spring Framework 4 버전부터 사용가능한 어노테이션
- @Controller에 @ResponseBody가 결합된 어노테이션
- 컨트롤러 클래스 하위 메소드에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붙이지 않아도 문자열과 JSON 등을 전송할 수 있음
- View를 거치지 않고 HTTP ResponseBody에 직접 Return 값을 담아 보내게 된다.
@RquestMapping
MVC의 핸들러 매핑(Handler Mappin)을 위해서 DefaultAnnotationHandlerMapping을 사용한다. DefaultAnnotationHandlerMapping 매핑정보로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활용 클래스와 메소드의 RequestMapping을 통해 URL을 매핑하여 경로를 설정하여 해당 메소드에서 처리한다.
value : url 설정
method : GET, POST, DELETE, PUT, PATCH 등
스프링 4.3버전 부터 메소드를 지정하는 방식보다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음
- @GetMapping
- @PostMapping
- @DeleteMapping
- @PutMapping
- @PatchMapping
'Back-End > Spring Boot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와 RESTful (0) | 2024.02.07 |
---|---|
Swagger (1) | 2023.11.08 |
Post API (0) | 2023.11.02 |
REST API (2) | 2023.10.30 |
Maven 과 Gradle (0) | 202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