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와 자료형
- 변수 : 정보를 저장하는 상자. 예를 들어, 숫자나 글자, 논리값(true/false)을 저장할 수 있다.
- 자료형 : 변수에 어떤 종류의 값이 들어갈 수 있는지 결정한다. 예시) 정수형 : Int / 실수형 : Double / 문자열 : String / 논리형 : boolean
조건문
조건문 (if문) : 주어진 조건이 참이면 특정 코드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val score = 85
if (score >= 90) {
println("합격")
} else {
println("불합격")
}
// score가 90 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출력한다.
반복문
반목문 (for, while) : 같은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할 때 사용한다.
for (i in 1..5) {
println("현재 값: $i")
}
// 1 부터 5까지 숫자를 차례대로 출력한다.
배열
배열 : 여러 개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val numbers = arrayOf(10, 20, 30, 40, 50)
println("첫 번째 요소: ${numbers[0]}") // 10 출력
// 배열의 각 요소는 인덱스로 접근하며,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문제 예시
1. 배열 요소 출력하기
- 문제 설명 : 정수형 배열이 주어졌을 때, 배열의 모든 요소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 힌트 : for 문을 사용하여 배열의 인덱스를 순회하며 출력한다.
2. 배열에서 최대값 찾기
- 문제 설명 : 정수형 배열이 주어졌을 때, 배열에서 가장 큰 수를 찾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 힌트 : 배열의 첫 번째 요소를 최대값으로 초기화하고, 반목문을 돌면서 더 큰 값이 있으면 갱신한다.
'자료구조&알고리즘 > Kotlin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연습하기(4)-재귀함수 (0) | 2025.03.31 |
---|---|
Kotlin 연습하기(3) (0) | 2025.03.27 |
프로그래머스 - 3진법 뒤집기 (level 1) (0) | 2024.09.09 |
프로그래머스 - 짝지어 제거하기(level2) (0) | 2024.09.04 |
프로그래머스 - 이상한 문자 만들기(level 1)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