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전역변수
전역번수의 부분별한 사용은 위험하다.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변수의 생명주기
변수는 선언에 의해 생성되고 할당을 통해 값을 갖는다. 생물과 비슷하게 생성되고 소멸되는 생명주기가 있다. 만약 생명주기가 없다면 한번 선언된 변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는 한 메모리 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것이다.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서 생성되고 소멸한다.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와 같다.
하지만 함수 내부에 선언된 지역 변수는 함수가 호출되고 함수가 종료하면 소멸한다.
function foo() {
var x = 'local';
console.log(x); // local
return x;
}
foo();
console.log(x); // ReferenceError : x is not defined
애플리케이션 생명 주기와 같은 전역 변수의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문제점
1. 암묵적 결함
전역 변수를 선언한 의도는 전역, 즉 코드 어디서든 참조하고 할당할 수 있는 변수를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모든 코드가 전역 변수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는 암묵적 결함 (implicit coupling)을 허용하는 것이다. 변수의 유효 범위가 크면 클수록 코드의 가독성은 나빠지고 의도치 않게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2. 긴 생명 주기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전역 변수는 생명 주기가 길다. 따라서 메모리 리소스도 오랜 시간 소비한다. 또 var 키워드의 경우 변수의 중복 선언을 허용하므로 생명 주기가 긴 전역 변수는 변수 이름이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
3.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
전역 변수는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한다. 이는 변수를 검색할 때 전역 변수가 가장 마지막에 검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역 변수의 검색 속도가 가장 느리다.
그렇다면 전역 변수를 억제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전역 변수를 반드시 사용해야 할 이유가 없다면 지역 변수를 사용해야한다. 변수의 스코프는 좁으면 좁을수록 좋다.
억제 방법
1. 즉시 실행 함수
함수 정의와 동시에 호출되는 즉시 실행 함수는 단 한 번만 호출된다. 모든 코드를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면 모든 변수는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가 된다.]
(function () {
var foo = 10; //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
}());
console.log(foo); // ReferenceError : foo is not defined
2. 네임스페이스 객체
전역에 네임스페이스 역할을 담당할 객체를 생성하고 전역 변수처럼 사용하고 싶은 변수를 프로퍼티로 추가하는 방법이다.
var MYAPP = {}; // 전역 네임스페이스 객체
MYAPP.name = 'Lee';
console.log(MYAPP.name); // Lee
3. 모듈 패턴
클래스를 모방하여 관련이 있는 함수를 모아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 하나의 모듈을 만든다. 정보 은닉을 구현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var Counter = (function() {
// private 변수
var num = 0;
// 외부로 공개할 데이터나 메서드를 프로퍼티로 추가한 객체를 반환한다.
return {
increase() {
return ++num;
},
decrease() {
return --num;
}
};
}());
// private 변수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console.log(Counter.num); // undefined
console.log(Counter.increase()); // 1